- Details
- Music (음악)
- Hits: 26768
.
.Richard Wagner (리하르트 봐그너, 영: 와그너, 1813-1883)
©SongZy – 봐그너의작품이공연되는유명한 [라이프치히오페라하우스]
봐그너(Wagner)는 독일 태생 작곡가이며 오페라 대본의 작사자로 음악과 문학사상에도 주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즉 그는 문학과 음악의 소질이 있었으며 또한 수 많은 여성들과 교제를 한 다방면의 천재이다. 그의 오페라 작품에는 유명한 것들이 많은데 남긴오페라작품중에 [트리스탄과 이솔데] 이후의작품 들은 [악극/Musikdrama]이라불리고 있다.
봐그너는 1813년5월22일에 동부 독일의 라이프치히(Leipzig)에서나서 1883년 2월 13일 베니스(Venice)에서 사망했다. 그의 생애에서 유럽의 여러곳을들려서 체재하고 활동한 또한 유럽인이다. 2013년에 그의 200주년의 출생을기념해서 그의 연고지들에서는 다채로운 기념공연과 행사들이 거행되었다.
Leipzig (라이프치히) – 출생도시 / www.richard-wagner-leipzig.de
1813 5월22일 R. Wagner는 경찰서 서기인 Carl F. W. Wagner 와 그의 안내Johanna Rosine 사이에 라이프치히에서 태어남. 아버지 이해11월23일에사망.
1814 8월28일에 모친 (Rosine)는 배우겸 화가인 루드비히 가이어 (L. Geyer)와재혼. 이어서 의부/양부를 따라 드레스덴(Dresden)으로 옮겨서 1827년까지 13년간 교육을 받음.
1821 9월30일에 의부 가이어 사망.
1822 12월2일 드레스덴 [Kreuzschule] 학교에 입학. 숙부 아돌프 봐그너
1827 4월8일에 견신례를 받음. 이 무렵 고전문학, 세익스피어 등에 몰두.
1828 연초 고향 Leipzig에 돌아와서, Nikolai-Gymnasium 입학해서수학.
1829 베토벤의 Fidelio 공연서 유명 여가수 Wilhelmine Schroeder-Devrient를 흠모함.
1830 6월16일에 토마스학교(Thomasschule)로 옮김.
1831 2월23일에 라이프치히 대학 입학하여 음악을 전공함. 토마스교회합창대장인 봐인리히 (Ch. T. Weinlig, 1780-1842)한테 사사함.
1832 자작으로 한 오케스트라 작품을 Leipzig/라이프치히에서 공연함.
More Leipzig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240
Wuerzburg (뷔르츠부르크) – 처음 지휘자 / www.wuerzburg.de
1833 1월에 뷔르츠부르크 합창지휘자가 되어 이사함. 그의 오페라 [요정 (Die Feen)] 가사 완성.
1834 [요정]의 총보 완성 (1888년 뮌헨에서 초연).
= =
Magdeburg(막데부르크) - 작센-안할트주의 수도/ www.magdeburg.de
1834 여름 Magdeburg서 음악책임자 (Musikdirektor)로 되며, 동시에 [Bethmann극단] 합창지휘자가됨. 여배우 민나 플라너 (Minna Planer)를 알게됨.
1835 Nuernberg 방문 영감을 받고 후에 [Die Meistersinger von Nuernberg] 작곡함
1836 3월29일 연애금지 (Das Liebesverbot)] 막데부르크서 초연. 6월7일 [민나플라너]를 따라 쾨닉스베르크(Koenigsberg)로 감.
= =
Koenigberg (쾨니히베르크) –당시 프로이쎈의 도시
1836 - 11월24일 민나 플라너와 쾨닉스베르크 (Koenigsberg)에서 결혼.
1837 - 4월 쾨닉스베르크 음악지휘자로 취임. 7월 오페라 [리엔치/Rienzi] 착수.
= = =
Riga (리가) –라트비아의수도 / www.liveriga.com
©SongZy - Wagner가 지휘한 라트비아의 수도 리가(Riga)의 [국립 오페라하우스]
1837 - 8월 Riga의 음악지휘자로 옮김. 아내 미나 플라너와 6개월 별거후 다시 결합.
1839 - 3월 음악지휘자 자리 해고됨. / 7월9일 리가를 탈출함.
Riga Opera Festival – 매년 여름에 개최 / www.opera.lv/en/home
= = =
Paris (파리) – 프랑스의 수도 / www.paris.fr
1839 - 7월에부인 Minna와 리가를 탈출하여 배로 런던을 거처, 9월 파리 도착.
1840 - [Rienzi] 총보 완성. 잡지 [Gazette Musicale de Paris]의 편집인 됨.
1841 - [방황하는 화란인 (Fliegende Hollaender)] 총보완성.
= = =
Dresden (드레스덴) – 작센주의수도/www.dresden.de/wagner
1842 4월 독일 드레스덴로 돌아와서 궁정극장에서 그의 지휘로 Rienzi 초연.
1843 1월2일 궁정극장서 [Der fliegende Hollaender]을 지휘하에 초연. 2월 작센왕국의 궁정극장 악장 (Hofkappellmeister)으로 임명됨.
1845 [마이스터싱거] (Meistersinger von Nuernberg) 작시 착수.
Graupa의 집에서 영감을 얻고 로헨그린 (Lohengrin)] 가사 완성.
10월19일 [탄호이서(Tannhäuser)] 드레스덴 봐그너의 지휘로 초연.
1846 오페라하우스 [츠뷩거(Zwinger)]에서 베토벤 교향곡 제9번지휘.
[로엔그린] 완성 (1850년에 봐이마르서 초연됨), [지그프리트의 죽음] 작시.
1848 1월9일 모친 사망.
1849 5월초 드레스덴 봉기에 참가. 5월16일 체포령이 내려, 24일 스위스로 망명함.
= = =
Zuerich (취리히) – 스위스 최대도시 / www.zuerich.com
©Song Ziyul – 오페라가 공연되는 아름다운 [취리히 오페라하우스]의 정면
1849 - 드레스덴 5월혁명에 참가, 이로서 스위스 취리히 (Zuerich)로 망명함.
[미래의 예술작품 (Das Kunstwerk der Zukunft)] 완성.
1850 - 라우쏘트 (J. Laussot)와 에피소트. [음악에 있어서 유대교] 완성.
[로엔그린] 리스트 지휘하에 8월28일 봐이마르 궁정극장에서 초연.
1851 - 자서전 [나의친구들에게대한보고 (Mitteilung an meine Freunde)] 씀.
오페라드라마 [Junger Siegfried] 작사시작. [니벨룽겐반지] 구상
1852 - 붸상돈크부부 (Otto und Mathilde Wesendonk)를알게됨.
[Walkure/봘퀴레]와 [Rheingold/라인의황금] 작사. 이탈리아여행?
1853 - La Spezia서오래찾던 [라인황금] 전주곡 잠결에서 들음으로 작곡착수.
당시 16세인코지마 (Cosima Liszt, 1837-1930)를 파리에서 처음 만남.
취리히 5월연주회. [Ring/반지]를자비로출판함.
1854 - [라인황금] 총보완성. [Walküre] 작곡착수. [Tristan und Isolde] 초안.
[쇼펜하우어]의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 읽음.
1855 - 런던(London)에서 8회의콘서트를 지휘함.
1856 - [봘퀴레] 총보완성. [Siegfried/지그프리트] 작곡 착수. [승리자] 초안.
1857 - [파르시팔 (Parsifal)] 초안. 붸상동이마련한[Asyl (망명)] 집으로 옮김. [Tristan und Isolde] 작사/작곡착수. [붸상돈크의 5가지노래] 작곡함.
1858 - 한스폰뷜로 (Hans von Bülow) 부부와 같이 삶 (짧은기간)
= = =
1859 - [트리스탄과 이솔데] 2악장완성. 파리로가다. 민나와 다시 동거함.
1860 - 파리와 브뤼셀에서 지휘함. 작센을 제외하고 추방 해재됨..
1861 - [탄호이서] 파리판 스캔달. [Lohengrin] 연주 비엔나서 열광적 환영.
11월 베니스서 비엔나에 기차여행 중 [마이스터싱거] 전주곡착상.
12월 - 파리에서 [마이스터싱거] 작시착수.
= = =
1863 - 각지(Moskau, Budapest, Prag, Karlsruhe, Dresden, Wien 등) 연주회. 코시마 폰 뷜러와 베를린을 산책하면서 약혼을 약속함. 경제적로 고심.
1864 - 비엔나에 1년간 체류. 채무자들에 의해 비엔나에서 도주함. Stuttgart에서 숨어 지나는데 루트비히 2세의 초청로 뮌헨로 옮김. 한스 폰 뷜러 부인과 동거.
= = =
München (뮌헨) – 바이에른주수도/ www.muenchen.de
©SongZy – 봐그너의여러작품이초연된뮌헨에있는궁정극장
1864 비엔나(Vienna)에약1년간체류후에채무자들에의해서3월에비엔나에서 도주하여 스위스를 거처서 Stuttgart(슈투트가르트)에서 숨어지냄.
5월4일바이에른왕루트비히 2세 (Ludwig II)의초청으로München으로 옮김. 한스 폰 뷜러 부인 코지마 (Cosima)과 같이 지냄.
1865 4월1일Isolde출산 (호적은폰뷜러의딸이나실제는코지마와봐그너의딸)
6월10일에[Tristan und Isolde] 뮌헨에서한스폰뷜러 (1830-1894)의지휘로초연. 루트비히 2세가봐그너에게 6개월간뮌헨을떠나줄것을청함.
1866 1월25일첫부인민나 (Minna) 드레스덴에서사망. 4월15일에스위스루체른근교의호반Triebschen에집을구해서옮김.
= = =
Luzern (루체른, 1866-72) – 스위스호반도시 / www.luzern.ch
1867 2월17일에코지마와봐그너의둘째딸에봐(Eva)가태어남.
1868 6월21일[Meistersinger von Nürnberg]를뮌헨의궁정극장에서 Hans von Buerer의지휘로초연. 왕의초청으로초연에참석한궁중으로부터열광적인환영을받음.
1869 6월6일봐그너와코지마간의셋째아이며장남으로지그프리트 (Siegfried) 출생.
봐그너의반대의사에도왕루드비히 2세의명령으로 [Rheingold)을뮌헨에서 뷜너 (F. Wuellner)의지휘로초연됨.
1870 봐그너의반대의사에도왕의명령으로 [Walküre)를뮌헨에서뷜너의지휘로초연. 7월에한스와코지마폰뷜러사이의법정이혼이이루어짐. 8월25일루체른개혁교회에서코지마와결혼식을가짐.
1871 4월에이미존재하는오페라좌건물을자기작품을 위한 음악제 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검토차 바이로이트 (Bayreuth)를 처음 방문.
= = =
Bayreuth (바이로이트) – 바그너주활동지/ www.bayreuth.de
©Bayreuth Mark. & Tourismus - 바이로이트 Wagner 오페라하우스
1872 5월22일그의 59회생일날에바이로이트의축제극장기공식을거행.
1873 독일각지로연주여행. 브루크너 (Anton Bruckner)로부터 [제3 교향곡]을헌정받음. 자기작품 [반지]를바이로이트에새로수리한음악제용건물에서상연하는것을선언함. 비스마르크 (Otto Fürst von Bismarck)에접견됨.
1874 4월28일봐그너의설계에의해서바이로이트에만들어진 Wahnfried 집으로이사함. [신들의황혼] (Die Götterdämmerung) 총보를완성함으로 [반지]의전작품이완성됨.
1876 5’000달러의사례로미국의독립 100주년기념행사의행진곡을작곡함. 리히터 (H. Richter, 1843-1916)의지휘로 [Ring der Nibelungen] 전작품초연. 8월13일 [라인의황금]으로바이로이트음악제를개최함. 8월14일 [봘퀴레/Walküre], 8월16일 [지그프리트/Siegfried] 초연, 8월17일 [신들의황혼] 초연.
1877 런던의 [알버트홀]에서 8회콘서트연주 / 윈저성으로빅토리아여왕의영접을받음. 그의마지막작품[파르시발/Parzival] 작사및작곡착수.
1881 [반지] 베를린에서상연. 이탈리아여행.
1882 [파르시발] 총보를완성하였으며무대헌납식축제기간이 7월26일 초연이되었고 9월29일까지 16회재연이됨. 지휘는레뷔 (Hermann Levi)가하였으나마지막연주의 3극장은봐그너가하였는데이음악축제집에서지휘봉을처음이고마지막.
9월에요양차겨울을지나기위해베니스에여행.
1883 2월13일심장마비로베니스의 [Palazzo Vendramin]에서사망.
2월18일바이로이트소재 Wahnfried 집정원에안장됨.
= = =
.
자료출처– 1) Walter Panofsky의 Wagner 전기 / 2) Martin Geck의 Richard Wagner (2004)
= = =
.
작성자 (Editor): 송지열 (Ziyul Song) / www.eurasiatour.info
Facebook: www.facebook.com/pages/EurasiatourInfo/122944391155017
.
- Details
- Music (음악)
- Hits: 10908
© European Broadcasting Union - 독일의 레나(Lena)의 우승을 축하하는 사회자들
.
European Song Contest – 유럽 노래 경연대회
유로비전 송콘테스트 ( Eurovision Song Contest, 불: Concours Eurovision dela Chanson)는 유럽방송연합 (European Broadcasting Union) 가맹 방송국에 의해서 개최되는 매년 연례적인 국제 음악 경연대회이다. 유럽방송연맹은 1950년2월12일에 설립되었으며, 유럽연합과는 별개의 조직으로 1993년에 국제 라디오 및 텔레비전협회와 중앙 및 동부 유럽의 동종의 조직을 편입했다. 2007년7월의 시점에 가맹 회원국은 56개국의 75방송국이다. 이 조직의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다. www.ebu.ch
- Details
- Music (음악)
- Hits: 8425
.
프란츠 레하 (Franz Lehar)
(c)WikipediaPicture - Lehar의 출생지 Komorno (현재 Slovakia)의 중심지
프랑스 레하 (Franz Lehar)는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의 오페레타 작곡가이다. Lehar 1870년4월30일에 현재의 슬로봐키아의Komárno에서 출생했다. 보병 군악대의 대장인 Franz Lehar (senior, 1838-1898)와 독일 이민자 가정의 후손인 헝가리 여성 Christine Neubrandt (1849-1906)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금년은 그가 태어난 150주년의 [Lehar해]로서 그의 작품들이 많이 연주되고 있다. 부친의 이름과 같아서 그는 [프라츠 레하 2세]라 불리었다. 12살까지 헝가리어만 사용하고 자랐다. 그는 매우 재능이 있었으며, 5세 때 이미 음을 잘 알고 피아노를 잘 연주하였다.
1882년에 [프라하 음악학원] Prague Conservatory 에 들어갔으며, 아버지의 소원에 따라 바이오린을 유명한 베네비츠 (Antonin Bennewitz), 페르스터 (Josef Ferster), 드보르작 (Antonin Dvorak)으로 배웠다.
1888년에 Lehar는 음악원을 졸업한 후에 부악장으로 비엔나의 아버지의 악단에 합류한다. 2년 후에 그는 Losonc (현제 슬로봐키아Lučenec)의 악장이 된다. 이로서 Lehar는 당시에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악대의 최연소 악장이 된다. 그러나 그는 이 직책을 그만두고 해군이 된다.
1894년에서 96년까지 해군으로군항인 Pola (Pula) (현재 크로아티아 속함)에 악장이 된다. 후에 1898년에 부다페스트, 그리고 마지막 악장으로 1899년에서 1902년까지 비엔나에서 활동한다.
1902년에 그는 역사적인 비엔나의 [Theater an der Wien]의 지위자가 된다. 여기서 그 해 11월에 그의 오페레타 [Wiener Frauen]을 상연한다. 군악대의 악장을 경유 비엔나 오페레타 작곡가로 데뷰한다. [은의 시대]라 불리는 [비엔나 오페레타]의 제2 황금기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되었다.
1905년, [Die lustige Witwe] (영: The Merry Widow )로 일약 인기 작곡가가 된다. 1909년의 발표의 대표작으로 [der Graf von Luxemburg]은 이것과 계통을 같이하는 희극이나, 그 후에 서서히 작풍을 전환해서, 종래의 오페레타의 희극 일변도를 탈출해서 어는 정도 웃는 것을 피해서 기본을 전개하는 독자의 형을 확립해 간다. 특히 1925년에 초연한 [Paganini], 1927의 [러시아 황태자, Zarewitsch], 그리고 1929년의 [ 미소 짓는 나라 / Das Land des Laechelns]은 이제까지 오페레타에 없었던 비극이고 Lehar의 독특한 [비엔나 오페레타] 노선을 상징하는 걸작이다. 이 노선은 비엔나에는 필히 환영되지 않아서, 상연 거점을 Berlin으로 옮겨야만 했다. 그의 가장 야심작, 1934년의 [Giuditta]는 오페레타 보다 오레라에 가깝다.
1938년3월에 나치당이 인솔하는 독일은 오스트리아를 통합한 후에는 Lehar부인 소피Sophie (본성: Paschkis)가 유대인으로 태어남 (Lehar와 결혼에 따라 캐토릭으로 개종)에도 불구하고 독일 나치스당 정권의 비호를 받은 이유는 히츨러가 오스트리아 태생으로 Lehar의 작품 [Die lustige Witwe]를 좋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Lehar는 1935년 이후 신작을 발표하지는 않았다.
(c)WikipediaPicture - Lehar의 사망지 Bad Ischl의 Lehar FilmTheater
1945년8월 (유럽에는 5월)에 제2차세계대전이 종결되고, 오스트리아가 부활해서 3년 후의 1948년 같은 나라의 Salzburg근교 Bad Ischl에서 사망하였다..그의 묘가 있으며 또한 그의 기념관 [Lehar FilmTheater]도 있다..
= =
Bad Ischl (바트이슐) – 황제및휴양온천도시
Bad Ischl은이슐(Ischl) 강과트라운 (Traun) 강이합류하는지점에발달한오스트리아의오버외스터라이히 (Oberösterreich) 주남부에속하는기초자치제[Gemeinde (게마인데)]이다. 잘츠캄머궅 (Salzkammergut)지역중앙에위치하며트라운강이흐르고있다. 벌써 1419년에알프레트 2세에의해서 [Salzkammer]라고불리는지방의회가 Wildenstein성에서설립되었다. 1466년에프리드리히3세에의해서시장도시의특권을받았다. 최초의염전광이개발되였고 1597년에는염전도개방했다.유명한것은프란츠요셉 1세가에리자베트와약혼식이이곳에서하였다. 이건물은지금시의박물관으로이용하고있다. 주요이벤트는레하 (Franz Léhar, 1870-1948) 의[오페레타음악제]가매년7월에공연되고있다. 매년음악제의주곡은 변경이 된다. / www.leharfestival.at
이도시의 매력은또한 온천이 솟아 나오는 온천도시이다. 온천욕을 할수 있는 좋은 공공시설이 잘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온천장옆에는 4성급호텔 [Hotel Royal]이있다. / www.eurothermen.at
Salzkammergut 지역을 유리하게 여행하고저 할경우에는 [Salzkammergut Card]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Tourismusverband Bad Ischl / www.badischl.com/en
= =
Lehar의 오페레타 작품들
[Wiener Frauen / 비엔나의 여자들, 1901]
[Der Rastelbinder / 침금세공사, 1902]
[Die Lustige Witwe / 즐거운/재미있는 과부, 1905]
[Der Graf von Luxemburg / 룩셈부르크 백작, 1909]
[Zigeunerliebe / 집시의 사랑, 1910]
[Eva / 에바, 1911]
[Endlich allein / 최후에 혼자, 1914]
[Der Sterngucher / 천문학자, 1916]
[Wo die Lerche singt / 종달새가 우는 곳, 1918]
[Fruehling / 봄, 1922]
[Die gelbe Jacke / 노란 상의, 1923]
[Friederike / 프리-데리케, 1922] ?
[Paganini / 파가니니, 1923]
[Der Zarewitsch / 러시아 황태자, 1927]
[Das Land des Laechelns / 미소 짓는 나라, 1929] – [노란 상의]의 개정판
[Schoen ist die Welt / 이 세상은 아름답다, 1930] - [최후에 혼자]의 개정판
[Giuditta / 주디타, 1934]
= =
Austria-Hungary / http://en.wikipedia.org/wiki/Austria-Hungary (영어)
Lehar, Franz / https://de.wikipedia.org/wiki/Franz_Lehár (독어)
= = =
작성자: 송지열 (Ziyul Song) / www.eurasiatour.info / This email address is being protected from spambots. You need JavaScript enabled to view it.
Facebook (Ziyul Song) / www.facebook.com/ziyul.song
Facebook / www.facebook.com/pages/EurasiatourInfo/122944391155017
.
- Details
- Music (음악)
- Hits: 19942
.
바흐 (Carl Ph. E. Bach, 1714 – 1788) - 300주년 해
©C. Ph. E. Bach2014 – Carl Bach의 출생지 Weimar [베드로와 바울 교회]
칼 필립 에마누엘 바흐 (Carl Philipp Emanuel Bach)는 1714 년 3 월 8 일 봐이마르 (Weimar)에서 태어났으며 1788 년 12 월 14 일 함부르그(Hamburg)에서 사망한 독일의 유명한 작곡가이다.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와 그의 전처 마리아 바르바라 Maria Barbara사이에 난 차남(次男)이다. 아버지 보다는 아버지의 친구 텔레만 (G. Ph. Telemann)의 작곡 스타일을 계승하여, 갤런트 (Gallant) 작풍과 다감한 스타일을 추구해서 고전주의음악의 기초를 닦아 놓았다. 동생 요한 크리스티안이 모차르트를 가르치고 지도했던 것과 같이, C.P.E. 바흐의 작풍은 하이든이나 베토벤 (Beethoven)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생전에는 아버지 요한 세바스티안 보다 유명했으며 형제 중 누구보다 세속적인 성공을 하지만, 본인은 아버지의 지도가 있었기에 자신이 성공할 수 있다고 호소했다. 그런 의미에서 초기 바흐 신화를 만들어낸 장본인 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바흐 일족의 작곡과 구별 하기 위해 [베를린의 바흐], [함부르크의 바흐] 등으로 불린다. 금년은 그가 태어난 300주년 기념 해이다. 관련된 여러 곳에서 그에 관한 행사들이 거행된다. / www.cpebach.de/en
= =
봐이마르 (Weimar) – 출생지
그가 태어날 때에 명명(命名)한 대부(代父)는 아버지의 친구 게오르크필립텔레만 (Georg Philipp Telemann, 1681-1767)이었다. 그의 이름에 있는 [필립]는 텔레만의 이름을 딴 것이다. 1717 년에 가족과 함께 쾨텐 Köthen으로 옮겨서 자랐다. / www.cpebach.de/en/2014/weimar
= =
라이프치히(Leipzig)와 프랑크푸르트/오더 (Frankfurt/Oder)에서 수학
1723 년에는 아버지의 토마스 칸토르의 취임과 함께 라이프치히Leipzig 이전 했다. 10살 때, 아버지는 칸토를 맡고 있을 때, 토마스 교회 부속학교 [토마스 학교]에 입학하였다. 1731 년에 라이프치히 대학에 진학하여 수학하였으며 후에 즉 1734 년에 프랑크푸르트암오데르 (Frankfurt am Oder)의 뷔아드리나 대학 (Alma Mater Viadrina)에 전학하고 1737 년에 법학 학위를 받았으나 곧 사법 생으로 나아가는 것을 단념하고 음악에 헌신 하기로 결심했다. / www.cpebach.de/en/2014/frankfurt-%28oder%29
= =
첫 활동지 베를린(Berlin)과 포츠담(Potzdam) (1737-1768)
©Wikipedia Pic. – 상수시 궁전에서 플루트를 연주하는 프리드리히 대왕
1737년에 프로이센의 왕세자 프리드리히 (후의 프레드릭 2세)의 루핀 (Ruppin)의 궁 (Schloss Rheinsberg)에 쳄바로 (합시코드) 연주자로 봉직하고, 1740 년에 프리드리히 2 세 국왕의 대관식 때 베를린 궁정 악단원으로 승진 했다. 이 무렵에 유럽에서 가장 진보된 클라비어 (피아노) 주자(奏者)의 한 사람이 되었고, 1731 년에 거슬러 올라가는 작곡 활동도 즐겨 건반 악기를 위한 30 곡의 소나타와 수많은 소품이 포함되어 있었다. 작곡가로서의 명성에는 프리드리히 대왕과 뷔르템베르크 공작에게 헌정된, 각 두 개의 소나타 집에 의해 완성 되었다.
1746 년에는 왕실 악단원의 지위에 올라 갔으며, 그 후 22 년 동안 그라운 (Carl Heinrich Graun), 쿠봔츠 (Johann Joachim Quantz),나우만 (Johann Gottlieb Naumann)와, 대왕의 총애(寵愛)를 계속 받았다. 베를린 시대의 대표 작으로, 아버지의 영향을 가장 강하게 세운 막니피카트 Magnificat (1749 년) 외에 부활절칸타타 (1756 년), 심포니 (교향곡, 交響曲)와 수 많은 협주곡(協奏曲) 작품, 그리고 3 집 노래 곡 모음과 약간의 세속 칸타타와 기타 기회음악을 열거할 수 있다. / www.cpebach.de/en/2014/berlin
긴 생애를 통해, CPE 바흐는 클라비어/피아노 연주의 거장으로, 합시코드 보다는 오히려 클라비아 코드와 포르테 피아노에 애착을 표시 했다. 대해와 클러바오 노래, 200 곡 가까운 콘서트 노래를 남겼다. 건반 음악의 대표 작으로, 베를린 시대에 「변주(變奏)하는 반복부(反復部) 함께 / Mit veränderten Reprisen」 소품 (小品, 1760 년 ~ 1768 년)이 있다. 그의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클라비어 교본 [바른 클라비어 주법의 시론 (試論) / Versuch über die wahre Art das Clavier zu spielen] (제1부 1753년, 제2부 1762년)에 의해서 그는 유럽의 음악 이론가로서도 최전선에 서게 되며 、클레멘티 (Muzio Clementi) 및 크라머 (Johann Baptist Cramer)의 지도 법에 기초가 되었다. 덧붙여 바흐의 아들 들 중에서 유일한 왼손잡이고, 그 때문에 현악기가 될 수 없었기 때문에, 건반 악기에 한층 애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www.cpebach.de/en/2014/potsdam
= =
두번째 활동지– 함부르크 (Hamburg) (1768 – 1788)
©Cpe Bach2014 – CPE Bach가 최후의 활동 지 함부르크의 콘서트 홀
텔레만이 사망하자 (1767), C.P.E. Bach는 프리드리히 대왕의 제어를 물리치고, 1768 년에 함부르크로 전출하여 텔레만이 악장을 하고 있었던 오케스트라의 후임자로 새로운 악장이 되었다.
함부르크에서는 요하네움 Johanneum 기숙 학교의 Kantor도 겸무하고 있었고, 베를린 시대 보다 훨씬 더 종교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함부르크 도착 후 오라토리오 [황야에있는이스라엘인들 [Die Israeliten in der Wüste]를 완성 시킨다. 이 작품은 그 뛰어난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멘델스존을 엘리야와의 유사성 때문에도 알려진다. 1769 년에서1788 년까지 즉 사망까지 20 곡의 수난곡과 약 70 곡의 칸타타 외에 연도(連禱), 모테트 등의 종교 음악을 작곡했다. 또한 동시에, 요제프 하이든의 자극을 받아 기악곡의 기재(奇才)임을 발휘 했다. 한편, 함부르크 시절의 정화(精華)는 "전문가와 애호가를 위한 소나타 집 •판타지 집•론도 집(集)” (1779 년에서 1787 년에 걸쳐 6권으로 나누어서 간행) 이다.
C.P.E 바흐는1788 년에 함부르크에서 사망한다. 클롶슈토크 (Friedrich Gottlieb Klopstock)와 글라임(Johann Wilhelm Ludwig Gleim)가 조사(弔詞)를 썼다. 또한 사후 작업의 대부분은 나중에 게오르크 푈차우 (Georg Poelchau)에 의해 편집되었다. / www.cpebach.de/en/2014/hamburg
= =
C.P.E.바흐는 18 세기 후반을 통해 아주 높이 평가 되고 있었다. 이미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와 친인척인 볼프강아마데우스모차르트는 C.P.E. 바흐에 관하여 「그는 아버지이고 우리는 아이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 사실, 소년 시대 1767 년에 습작한 다른 작곡가의 건반 악곡을 편곡한 일련의 피아노 협주곡 중 하나 「피아노 협주곡 3 번 K.40의 마지막 악장(樂章)은 C.P.E. 바흐의 하프시코드 독주곡 「보헤미아 인 La Boehmer」 편곡으로 요제프 하이든의 훈련에서 가장 좋은 부분은, 칼 필립 엠마누엘 작품 연구에 빚지고 있다. 베토벤 (L. van Beethoven)은 칼 필름 엠마누엘의 천재에 대해서 아주 마음을 먹고 평가와 존경의 뜻을 표시하다. .
C.P.E.바흐가 이 같은 입장을 이기고 얻은 것은 전적으로 클라비어•소나타에 의해서 였다. 이들 작품은 소나타 형식의 역사에 중요 한 시기를 만들고 있으며 작풍의 투명한 표현에서 섬세 하고 감미로운 악곡 구조의 자유와 다양 한 착상으로 유명하다. 작품의 내용은 창의에 충만 되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감정의 폭이 좁은 편이다. 하지만 생각은 근면하고, 말씨는 세련되고 절묘(絶妙)하다. CPE 바흐는 화성(和聲)의 색채감을 독자의 수법을 이용한 작곡가의 한 사람이고, 한편 선율의 아름다움과 친절함으로 청취자에게 감동를 주는 것을 항상 목표로서 의식하고 있었다. 아마 그래서 전 고전주의 작곡가 중에서 중요한 개척자가 된 것이다.
19세기에 들어가면 C.P.E. 바흐의 이름은 무시된 것처럼 되었다. 예를 들면 슈만 (Robert Schumann)은 「창조적인 음악가로서 아버지와는 격(格)이 너무 차이가 있다」 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브람스 (Johannes Brahms)는 높은 평가를 아끼지 않고 다수의 작품을 교정하여 주고 있다. 오늘날, 《플루트 협주곡 D단조》 (Wq.22), 《하프시코드 협주곡 G 장조》 (Wq.3), 《D 장조》 (Wq.11) 외에 《전문가와 애호가를 위한 소나타 집》, 오라토리오 《황야에 있는 이스라엘 인》(Wq238)과 《예수의 부활과 승천 / Die Auferstehung und Himmelfahrt Jesu》 (Wq.240)와 같은 작품이 재평가 되기에 이르고 있다. 건반 음악에서는, [Solfeggietto 하 단조 》 (Wq. 117-2) 피아노 연습곡으로 널리 연주된다.
C.P.E. 바흐는 형제 중에서 누구 보다도 아버지 바흐에 대 한 존경과 바흐 가(家)의 음악적- 종교적인 전통에 충성을 강하게 자각하고 있었고, 요절(夭折)한 두 아들은 음악가가 되지 않고, 할아버지와 동일한 이름을 준 둘째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Johann Sebastian Bach)는 로마에서 화가로서의 수행 중에 병으로 쓰러져 사망한다. 따라서 C.P.E. 바흐 직접의 후예(後裔)는 실존하지 않는다.
C.P.E. 바흐의 배열 번호는 1905 년에 벨기에의 음악 학자 보트켄느 (Alfred Wotquenne)가 만든 보트켄느 자료 (Wq), 헬름 (Eugene Helm)이 1989 년에 만든 헬름 자료 (H) 2개가 병용 (倂用) 되고 있다. C.P.E. 바흐의 전집 (Carl Philipp Emanuel Bach: The Complete Works)은2014 년에 완공을 목표로 기획이 진행 되고 있다.
= = =
작성자: 송지열 (Song Ziyul) / www.eurasiatour.info
Facebook / www.facebook.com/pages/EurasiatourInfo/122944391155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