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흐 (Carl Ph. E. Bach, 1714 – 1788) - 300주년 해

     ©C. Ph. E. Bach2014 – Carl Bach의 출생지 Weimar [베드로와 바울 교회]

필립 에마누엘 바흐 (Carl Philipp Emanuel Bach)는 1714 년 3 월 8 일 봐이마르 (Weimar)에서 태어났으며 1788 년 12 월 14 일 함부르그(Hamburg)에서 사망한 독일의 유명한 작곡가이다.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와 그의 전처 마리아 바르바라 Maria Barbara사이에 난 차남(次男)이다. 아버지 보다는 아버지의 친구 텔레만 (G. Ph. Telemann)의 작곡 스타일을 계승하여, 갤런트 (Gallant) 작풍과 다감한 스타일을 추구해서 고전주의음악의 기초를 닦아 놓았다. 동생 요한 크리스티안이 모차르트를 가르치고 지도했던 것과 같이, C.P.E. 바흐의 작풍은 하이든이나 베토벤 (Beethoven)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생전에는 아버지 요한 세바스티안 보다 유명했으며 형제 중 누구보다 세속적인 성공을 하지만, 본인은 아버지의 지도가 있었기에 자신이 성공할 수 있다고 호소했다. 그런 의미에서 초기 바흐 신화를 만들어낸 장본인 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바흐 일족의 작곡과 구별 하기 위해 [베를린의 바흐], [함부르크의 바흐] 등으로 불린다. 금년은 그가 태어난 300주년 기념 해이다. 관련된 여러 곳에서 그에 관한 행사들이 거행된다. / www.cpebach.de/en

= = 

봐이마르 (Weimar) – 출생지

그가 태어날 때에 명명(命名)한 대부(代父)는 아버지의 친구 게오르크필립텔레만 (Georg Philipp Telemann, 1681-1767)이었다. 그의 이름에 있는 [필립]는 텔레만의 이름을 딴 것이다. 1717 년에 가족과 함께 쾨텐 Köthen으로 옮겨서 자랐다. / www.cpebach.de/en/2014/weimar

= = 

라이프치히(Leipzig)프랑크푸르트/오더 (Frankfurt/Oder)에서 수학

1723 년에는 아버지의 토마스 칸토르의 취임과 함께 라이프치히Leipzig 이전 했다. 10살 때, 아버지는 칸토를 맡고 있을 때, 토마스 교회 부속학교 [토마스 학교]에 입학하였다1731 년에 라이프치히 대학에 진학하여 수학하였으며  후에 즉 1734 년에 프랑크푸르트오데르 (Frankfurt am Oder)의  뷔아드리나 대학 (Alma Mater Viadrina)에 전학하고 1737 에 법학 학위를 받았으나 곧 사법 생으로 나아가는 것을 단념하고 음악에 헌신 하기로 결심했다. / www.cpebach.de/en/2014/frankfurt-%28oder%29

= = 

활동지 베를린(Berlin)포츠담(Potzdam)  (1737-1768) 

    ©Wikipedia Pic. – 상수시 궁전에서 플루트를 연주하는 프리드리히 대왕

1737년에 프로이센의 왕세자 프리드리히 (후의 프레드릭 2세)의 루핀 (Ruppin)의 궁 (Schloss Rheinsberg)에 쳄바로 (합시코드) 연주자로 봉직하고, 1740 년에 프리드리히 2 세 국왕의 대관식 때 베를린 궁정 악단원으로 승진 했다. 이 무렵에 유럽에서 가장 진보된 클라비어 (피아노) 주자(奏者)의 한 사람이 되었고, 1731 년에 거슬러 올라가는 작곡 활동도 즐겨 건반 악기를 위한 30 곡의 소나타와 수많은 소품이 포함되어 있었다. 작곡가로서의 명성에는 프리드리히 대왕과 뷔르템베르크 공작에게 헌정된, 각 두 개의 소나타 집에 의해 완성 되었다.

1746 년에는 왕실 악단원의 지위에 올라 갔으며, 그 후 22 년 동안 그라운 (Carl Heinrich Graun), 쿠봔츠 (Johann Joachim Quantz),나우만 (Johann Gottlieb Naumann)와, 대왕의 총애(寵愛)를 계속 받았다. 베를린 시대의 대표 작으로, 아버지의 영향을 가장 강하게 세운 막니피카트 Magnificat (1749 년) 외에 부활절칸타타 (1756 년), 심포니 (교향곡, 交響曲)와 수 많은 협주곡(協奏曲) 작품, 그리고 3 집 노래 곡 모음과 약간의 세속 칸타타와 기타 기회음악을 열거할 수 있다. / www.cpebach.de/en/2014/berlin

긴 생애를 통해, CPE 바흐는 클라비어/피아노 연주의 거장으로, 합시코드 보다는 오히려 클라비아 코드와 포르테 피아노에 애착을 표시 했다. 대해와 클러바오 노래, 200 곡 가까운 콘서트 노래를 남겼다. 건반 음악의 대표 작으로, 베를린 시대에 「변주(變奏)하는 반복부(反復部) 함께 / Mit veränderten Reprisen」 소품 (小品, 1760 년 ~ 1768 년)이 있다. 그의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클라비어 교본 [바른 클라비어 주법의 시론 (試論) / Versuch über die wahre Art das Clavier zu spielen] (제1부 1753년, 제2부 1762년)에 의해서 그는 유럽의 음악 이론가로서도 최전선에 서게 되며 、클레멘티 (Muzio Clementi) 및 크라머 (Johann Baptist Cramer)의 지도 법에 기초가 되었다. 덧붙여 바흐의 아들 들 중에서 유일한 왼손잡이고, 그 때문에 현악기가 될 수 없었기 때문에, 건반 악기에 한층 애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www.cpebach.de/en/2014/potsdam

= =

번째 활동지함부르크 (Hamburg)  (1768 – 1788)

      ©Cpe Bach2014 – CPE Bach가 최후의 활동 지 함부르크의 콘서트 홀

텔레만이 사망하자 (1767), C.P.E. Bach는 프리드리히 대왕의 제어를 물리치고, 1768 함부르크 전출하여 텔레만이 악장을 하고 있었던 오케스트라의 후임자로 새로운 악장이 되었다.  

함부르크에서는 요하네 Johanneum 기숙 학교의 Kantor도 겸무하고 있었고, 베를린 시대 보다 훨씬 더 종교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함부르크 도착 후 오라토리오 [황야에있는이스라엘인들 [Die Israeliten in der Wüste]를 완성 시킨다. 이 작품은 그 뛰어난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멘델스존을 엘리야와의 유사성 때문에도 알려진다. 1769 년에서1788 년까지 즉 사망까지 20 곡의 수난곡과 약 70 곡의 칸타타 외에 연도(連禱), 모테트 등의 종교 음악을 작곡했다. 또한 동시에, 요제프 하이든의 자극을 받아 기악곡의 기재(奇才)임을 발휘 했다.  한편, 함부르크 시절의 정화(精華)는 "전문가와 애호가를 위한 소나타 집 •판타지 집•론도 집(集)” (1779 년에서 1787 년에 걸쳐 6권으로 나누어서 간행) 이다. 

C.P.E 바흐1788 년에 함부르크에서 사망한다. 클롶슈토크 (Friedrich Gottlieb Klopstock)와 글라임(Johann Wilhelm Ludwig Gleim)가 조사(弔詞)를 썼다. 또한 사후 작업의 대부분은 나중에 게오르크 푈차우 (Georg Poelchau)에 의해 편집되었다. / www.cpebach.de/en/2014/hamburg

= = 

C.P.E.바흐는 18 세기 후반을 통해 아주 높이 평가 되고 있었다. 이미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와 친인척인 볼프강아마데우스모차르트C.P.E. 바흐에 관하여 「그는 아버지이고 우리는 아이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 사실, 소년 시대 1767 년에 습작한 다른 작곡가의 건반 악곡을 편곡한 일련의 피아노 협주곡 중 하나 「피아노 협주곡 3 번 K.40의 마지막 악장(樂章)은 C.P.E. 바흐의 하프시코드 독주곡 「보헤미아 인 La Boehmer」 편곡으로 요제프 하이든의 훈련에서 가장 좋은 부분은, 칼 필립 엠마누엘 작품 연구에 빚지고 있다. 베토벤 (L. van Beethoven)은 칼 필름 엠마누엘의 천재에 대해서 아주 마음을 먹고 평가와 존경의 뜻을 표시하다. .

C.P.E.바흐가 이 같은 입장을 이기고 얻은 것은 전적으로 클라비어소나타에 의해서 였다. 이들 작품은 소나타 형식의 역사에 중요 한 시기를 만들고 있으며 작풍의 투명한 표현에서 섬세 하고 감미로운 악곡 구조의 자유와 다양 한 착상으로 유명하다. 작품의 내용은 창의에 충만 되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감정의 폭이 좁은 편이다. 하지만 생각은 근면하고, 말씨는 세련되고 절묘(絶妙)하다. CPE 바흐는 화성(和聲)의 색채감을 독자의 수법을 이용한 작곡가의 한 사람이고, 한편 선율의 아름다움과 친절함으로 청취자에게 감동를 주는 것을 항상 목표로서 의식하고 있었다. 아마 그래서 전 고전주의 작곡가 중에서 중요한 개척자가 된 것이다.

19세기에 들어가면 C.P.E. 바흐의 이름은 무시된 것처럼 되었다. 예를 들면 슈만 (Robert Schumann)은 「창조적인 음악가로서 아버지와는 격(格)이 너무 차이가 있다」 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브람스 (Johannes Brahms)는 높은 평가를 아끼지 않고 다수의 작품을 교정하여 주고 있다. 오늘날, 《플루트 협주곡 D단조》 (Wq.22), 《하프시코드 협주곡 G 장조》 (Wq.3), 《D 장조》 (Wq.11) 외에 《전문가와 애호가를 위한 소나타 집》, 오라토리오 《황야에 있는 이스라엘 인》(Wq238)과 《예수의 부활과 승천 / Die Auferstehung und Himmelfahrt Jesu》 (Wq.240)와 같은 작품이 재평가 되기에 이르고 있다. 건반 음악에서는, [Solfeggietto 하 단조 》 (Wq. 117-2)  피아노 연습곡으로 널리 연주된다.

C.P.E. 바흐는 형제 중에서 누구 보다도 아버지 바흐에 대 한 존경과 바흐 가(家)의 음악적- 종교적인 전통에 충성을 강하게 자각하고 있었고, 요절(夭折)한 두 아들은 음악가가 되지 않고, 할아버지와 동일한 이름을 준 둘째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Johann Sebastian Bach)는 로마에서 화가로서의 수행 중에 병으로 쓰러져 사망한다. 따라서 C.P.E. 바흐 직접의 후예(後裔)는 실존하지 않는다.

C.P.E. 바흐의 배열 번호는 1905 년에 벨기에의 음악 학자 보트켄느 (Alfred Wotquenne)가 만든 보트켄느 자료 (Wq), 헬름 (Eugene Helm)이 1989 년에 만든 헬름 자료 (H) 2개가 병용 (倂用) 되고 있다. C.P.E. 바흐의 전집 (Carl Philipp Emanuel Bach: The Complete Works)은2014 년에 완공을 목표로 기획이 진행 되고 있다.

= = =

작성자: 송지열 (Song Ziyul) / www.eurasiatour.info

Facebook / www.facebook.com/pages/EurasiatourInfo/122944391155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