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rman Wine Info & Queen (여왕)
- Details
- Other (기타)
- Hits: 27970
.
German Wine Info (1)
©D-WeinInstitute - 2016년에 선출된 [독일 와인여왕 및 공주들]의 사진
A) Deutsche Weinkoenigen (영: Wine Queen) - 독일 와인여왕
독일에는 현재 왕은 없으나 여왕은 많이 있다. 이 여왕들은 [와인여왕]으로 매년 독일 공인된 포도재배지역에서 1년간의 명예 근무로 여왕이 선출 되며 이 13명의 여왕들이 경합하여 독일 전체를 대표하는 한 명의 [독일와인여왕]이 탄생한다. 이 여왕 유고시에 대리역할을 하는 2명의 공주가 병행해서 선발된다. 독일 와인여왕이 되면 전세계의 주요와인 전시회에 참가하여 독일 와인을 홍보해야 하는 명예와 의무가 있기에 와인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애정이 있어야 하며 또한 영어를 잘 구사해야 한다. / .www.deutscheweinkoenigin.de
이선발에참가한13 포도재배지역의와인여왕들은다음과같았다. 이들은대부분2011년도각지역의와인투어에참가자/단체들을위해안내도하였다
1) Ahr ( 아아르) 지역 / www.wohlsein365.de / Alina Bäcker
2) Baden (바덴) 지역 /www.badischer-wein.biz/ Marion Mayer
3) Franken (프랑켄)지역 /www.haus-des-frankenweins.de / Sabine Ziegler
4) Hess. Bergstrasse. 지역:/www.bergstraesser-wein.de / Barbara Hoock
5) Mittelrhein (미텔라인) 지역 / www.mittelrhein-wein.com / Anna Klapper
6) Mosel (모셀) 지역 /www.weinland-mosel.de / Ramona Sturm
7) Nahe (나헤) 지역 /www.weinland-nahe.de / Marisa Schuck
8) Pfalz (팔쯔) 지역 /www.pfalzwein.de / Karen Stock
9) Rheingau (라인가우) 지역 /www.rheingauer-wbv.de /Medeleine Rossel
10) Rheinhessen (라인헷센) 지역 /www.rheinhessenwein.de / Annika Strebel
11) Saale-Unstrut 지역 /www.natuerlich-saale-unstrut.de / Elisabeth Born
12) Sachsen (작센) 지역/www.weinbauverband-sachsen.de/ Juliane Kremtz
13) Württemberg (뷔르템베르크) 지역 /www.wwg.de /Karolin Harsch
= = =
B) 독일 인정된 포도재배 13지역 (순서는재배면적의크기기준)
(괄호안의숫자는화이트와인과레드와인의생산비률)
a) 10'000 ha 이상지역
1) 26'200 ha(68% : 32%) - Rheinhessen지역 – 천의구릉지
2) 23'500 ha(60% : 40%) - Pfalz 지역– 관능적즐거움
3) 15'500 ha(54% : 46%) - Baden지역 – 일조량이긴지역
4) 11'500 ha(29% : 71%) - Württenberg지역 – 특별레드와인의본고장
5) 9'300 ha(91% : 09%) - Mosel지역 – 로마인의유산
6) 6'000 ha(81% : 19%) - Franken 지역– 복스보이텔병
7) 4'100 ha(74% : 26%) - Nahe지역 – 남서쪽의보석
8) 3'100 ha(84% : 16%) - Rheingau지역 –
b) 1'000 ha 이하의지역
09) 650 ha(73% : 27%) - Saale-Unstrut지역 – 와인문화의천년
10) 550 ha(12% : 88%) - Ahr지역 – 미식가의천국, 레드와인지역
11) 470 ha(75% : 25%) - Mittelrhein지역 – 로만틱라인
12) 470 ha(82% : 18%) - Sachsen지역 – 엘베강의이탈리아풍
13) 440 ha(80% : 20%) - Hessische Bergstrasse지역 – 독일봄의정원
= = =
B) 13 포도재배지역 – 와인투어 (Wine Tour)를위해서
독일의대표적이고인정된포도재배지역은 13지역으로크게나눈다. 넓게분산되어있어서 [와인투어정보]의편의상지리적위치를고려해서다음과같이 3코스로나누어서언급한다
I. 라인란트-팔쯔 (Rheinland-Pfalz) 주 (1) (라인강의 왼편):
1) 팔쯔 (Pfalz) 지역:www.pfalzwein.de / 중심지: Neustadt/Weinstrasse
2) 라인헷센 (Rheinhessen) 지역: www.rheinhessenwein.de /중심지: Alzey
3) 나헤 (Nahe) 지역: www.weinland-nahe.de / 중심지: Bad Kreuznach
II. 라인란트-팔쯔 (Rheinland-Pfalz) 주 (2) (라인강의 왼편):
1) 미텔라인 (Mittelrhein) 지역: www.mittelrhein-wein.com / 중심지: St. Goar
2) 모셀 (Mosel) 지역:www.weinland-mosel.de/ 중심지 : Trier
3) 아아르 (Ahr) 지역:www.wohlsein365.de / 중심지: Marienthal
III. 바덴-뷔르템베르크 (Baden-Württemb.) 와 헷센 (Hessen) 주 (라인강의 오른편)
1) 바덴 (Baden) 지역: www.badischer-wein.biz/ 중심지: 칼스루헤 (Karlsruhe)
2) 뷔르템베르크 (Württemberg) 지역:www.wwg.de / 중심지: Möglingen
3) Hess. Bergstrasse지역: www.bergstraesser-wein.de / 중심지: Heppenheim
4) 라인가우 (Rheingau) 지역: www.rheingauer-wbv.de/ 중심지: Ettville
VI. 바이에른 (Bayern), 튀링겐과 작센-안할트 및 작센(Sachsen) 주
1) 프랑켄 (Franken)지역:www.haus-des-frankenweins.de / 중심지: Würzburg
2) Saale-Unstrut 지역: www.natuerlich-saale-unstrut.de / 중심지: Freyburg
3) 작센 (Sachsen) 지역:www.weinbauverband-sachsen.de / 중심지: Meissen
= =
C) 기후와토양
독일은북위 50도에위치하나멕시코난류의영향으로온화한기후로포도재배에유리한영향을받고있다. 독일포도밭의큰부분은남향급경사면과구릉지대에있으나강풍을막아주는숲이있으며, 많은밭은태양광선을반사해주는강유역에위치하고있다. 라인강과그지류는기후에크게공헌하고있다.즉강의물이근처의기후를온화하게만들고있으며또한물의반사로주야간의안정된온도를유지하게하는역할을한다.
이와같은일반적기상에다가여기저기있는포도밭들의 [미크로기후] (Micro climate) 특유의기상조건을고려해야만한다. 또한북쪽으로치우친독일의위치로포도들은남쪽지역에서보다긴성숙기간을갖는다. 이것이다른곳에서는수확이끝난지오랜후인 10월과 11월에독일에서는포도수확을하는이유이다. 포도는나무에더오래머물수록더욱성숙한다. 그것은더많은향취와더많은맛을제공한다.
밭의토양도또한와인만드는데대단히주요한포인트의하나이다. 토양에함류된미네날분과미량원소분의다름에있다. 13의와인생산지는여러다른토양에서만들어졌기에독일와인에있어서도여러가지의성격을가진와인이존재한다는것이다. 토양이다르고기후의다름, 또한포도밭의입지조건이다름이독일와인의바라이어티가많은것이다.
D) 주요포도의 품종과 재배면적
독일에는현재약 10만 ha의포도밭이있다. 그중 63%가화이트와인용의품종들이고나머지 37%가레드와인용의품종이재배된다. 세계적으로본다면화이트와레드와인용의재배지역의비률은독일의경우와거의반대가된다. 일년에생산량은약천만 hl이고일년에외국으로수출하는량은약 2백 hl이다. 지난 30년간의경향을보면독일포도재배는증가하였으며또한레드와인의생산이늘어났다.
a)화이트 와인용 품종
1) 리슬링 (Riesling) – 오랜전통을갖는위대한품종 : 21'197 ha (20.8%)
독일에있어서가장주요한화이트와인용품종인리슬링은역사적으로문서에등장하는것은 15세기로, 오늘날세계에서생산되고있는리슬링의반이상이독일의전역에서생산한다. 북쪽에위치한독일은일조량이부족해서당분은부족하지만대신에산도가높은것이특징이다. 세련된신맛과과일향등의복층적인맛이있다. 모든식사즉생선과조개류, 송아지와닭고기등의요리에잘맞는다. 섬세한맛의크림소스와도잘어울린다.
2) 리봐너 (Rivaner) : 13'988 ha (13.7%)
일명뮐러-투르가우 (Müller-Thurgau)라불리는독일포도개량사에서가장오래되며또한가장크게성공한품종이다. 이것은리슬링과질봐너의교배종으로 1882년에스위스투르가우출신인뮐러교수가가이센하임(Geisenheim)에있는왕실실습장에서성공한것이다. 라인헷센지역, 바덴지역, 팔쯔지역, 모젤지역그리고프랑켄지역에주고재배되고있다. 리슬링보다부드러운산미그리고신선하며, 숙성직후가가장맞는다.
3) 질봐너 (Silvaner) – 백아스파라와물고기요리의파트너: 5'314 ha (5.2%)
질봐너는가벼운산미를갖는인상적인와인으로흙의향이있다. 프랑켄지역의질봐너는물고기요리, 라인헷센과팔쯔지역의질봐너는특히흰아스파라거스에잘맞는다. 드라이한질봐너와인은고급매뉴에적합하다.
4) 그라우부르군더 (Grauburgunder) / (Ruländer) 4'382 ha (4.3%)
5) 케르너 (Kerner) 4'004 ha (3.9%)
6) 봐이쓰부르군더 (Weissburgunder) 3'491 ha (3.4%)
7) 박후스 (Bacchus) 2'113 ha (2.1%)
b)레드와인용 포도 품종
1) 슈태트부르군더( Spätburgungder, red) – 오랜전통을갖는레드와인용 : 11'807 ha (11.6%)
프랑스어로 [피노누아 / Pinot Noir]라불리며, 레드와인용의대표품종이다. 대부분이바덴특히카이서슈툴지구와투니베르크지구에서재배된다. 슈패트부르군더와인은맛이풍부하며아주부드럽다. 단맛을느끼는러드의과실의향기를가지며예를들면딸기아로마와아몬드향이있다. 로스트비프또한여러가지종류의치즈에잘맞는다.
2) 도른펠더 (Dornfelder) – 과실맛 : 8'231 ha (8.1%)
헬펜슈타이너(Helfensteiner)와헤롤트레베(Heroldrebe)라는품종과합해서개발된도른펠더로서는주로신맛의와인이만들어진다. 진한아로마늘최대한으로만들게하는것과나무통을사용해서양조를한것으로탄닝을강조하는것이다. 팔쯔와라인헷센에서약 40%가재배된다.
3) 포르투기서 (Portugieser) 4'683 ha (4.6%)
4) 트롤링거 (Trollinger) 2'518 ha (2.5%)
5) 슈봐르쯔리슬링 (Schwarzriesling) 2'424 ha (2.4%)
6) 레겐트 (Regent)2'183 ha (2.1%)
E) 독일와인의 등급 – 포도의 성숙도는 품질의 표시
1971년에개정된독일의 [신와인법]에의해서소비자들에게더알기쉽게라벨에포도밭의이름표시외에와인의성격과등급의표시가의무화되었다. 독일은그품질에의해서크게 4그릅으로나누어져있다.
(1) 도이쳐타펠봐인 (Deutscher Tafelwein):이일반와인은주로생산지에서소비된다.
(2) 도이쳐란트봐인 (Deutscher Landwein): 이른바 [시골의와인] 성격을가진다. 대량으로생산된다.
(3) 생산지한정상급와인 (Qualitätswein, bestimmter Anbaugebiete 약칭 Q.b.A.): 지정된재배지역에서나는질좋은와인뜻이다.
(4) 시평된상급와인 (Qualitätswein mit Prädikat, 약칭 Q.m.P)
시평된상급와인 (Qualitätswein mit Prädikat)는수확시의포도의당도에의해서 6등급으로나누어있다. 여기에는포도품종의성격과숙성도, 조화성, 왕성도등의점에있어서엄격한기준에서검사가행해진다. ,
1) 카비네트 (Kabinett): 성숙한포도에서만들어진양질의와인
2) 슈패트레세(Spätlese): 보통의수확기보다늦게수확한, 완숙한포도사용, 확실한맛이있는와인
3) 아우스레세(Auslese): 완숙한포도에서만든고급와인. 완숙하지않는포도는제거함
4) 베에렌아우스레세 (Beerenauslese/BA): 진한맛이풍부한단와인. 과숙한, 고급부패균의포도를선별.
5) 트로켄베에렌아우스레세 (Trockenbeerenauslese/TBA): 이것은독일최고급와인으로과숙한포도에고급부패균이붙은건포도같은것을골라서수확한다. 꿀과같은밀도가높은식성을돕거나후식용와인으로최적당함.
6) 아이스바인(Eiswein): 포도가언상태에서수확하여압착한다. 이렇게함으로포도의과즙은자연히농축되어 [아이스봐인] 독특한, 아주진한신맛과단맛을함께한맛이나온다.
= =
E) 13포도재배지역 – 와인투어 (Wine Tour)를 위해서
독일의대표적이고인정된포도재배지역은 13지역으로크게나눈다. 넓게분산되어있어서 [와인투어정보]의편의상지리적위치를고려해서다음과같이 3코스로나누어서언급한다
I. 라인란트-팔쯔 (Rheinland-Pfalz) 주 (라인강의 좌우편):
1) 팔쯔 (Pfalz) 지역:www.pfalzwein.de / 중심지: Neustadt/Weinstrasse
2) 라인헷센 (Rheinhessen) 지역: www.rheinhessenwein.de /중심지: Alzey
3) 나헤 (Nahe) 지역: www.weinland-nahe.de / 중심지: Bad Kreuznach
4) 미텔라인 (Mittelrhein) 지역: www.mittelrhein-wein.com / 중심지: St. Goar
5) 모셀 (Mosel) 지역:www.weinland-mosel.de/ 중심지 : Trier
6) 아아르 (Ahr) 지역:www.wohlsein365.de / 중심지: Marienthal
.
III. 바덴-뷔르. (Baden-Wuerttemberg) 와 헷센 (Hessen) 주 (라인강의오른편)
1) 바덴 (Baden) 지역: www.badischer-wein.biz/ 중심지: 칼스루헤 (Karlsruhe)
2) 뷔르템베르크 (Württemberg) 지역:www.wwg.de / 중심지: Möglingen
1) Hess. Bergstrasse지역: www.bergstraesser-wein.de / 중심지: Heppenheim
2) 프랑켄 (Franken)지역:www.haus-des-frankenweins.de / 중심지: Würzburg
3) 라인가우 (Rheingau) 지역: www.rheingauer-wbv.de/ 중심지: Ettville
- 바이에른(Bayern),튀링겐과 작센-안할트 및 작센(Sachsen) 주
1) 작센 (Sachsen) 지역:www.weinbauverband-sachsen.de / 중심지: Meissen
2) Saale-Unstrut 지역: www.natuerlich-saale-unstrut.de / 중심지: Freyburg
= =
GWT (1) : 6 Region in Rheinland-Pfalz (Ahr, Mittelrhein, Mosel, Nahe & Pfalz) www.eurasiatour.info/index.php/germany/other/177
GWT (2) : 1) Baden & 2) Wuerttemb. Wine Region / www.eurasiatour.info/index.php/germany/166
GWT (3) : 1) Franken, 2) Rheingau & 3) Hessische Bergstrasse www.eurasiatour.info/index.php/germany/other/141
GWT (4) : 1) Sachsen & 2)Saale-Unstrut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other/169
GW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other/290
자료출처: Deutsches Weininstitut GmbH / www.deutscheweine.de
= = =
작성자: 송지열 (Ziyul Song) / www.eurasiatour.info / This email address is being protected from spambots. You need JavaScript enabled to view it.
Facebook (Ziyul Song) / www.facebook.com/ziyul.song
FB (Eurasiatour) / www.facebook.com/pages/EurasiatourInfo/122944391155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