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동시 (Andong City) – 한국 유교문화의 수도 ©경북도청 – 2016년 이전할 경상북도의 새 도청 청사에서 해외자문위원 일동
안동시의 발전 역사는 신라시대 때 고창군으로 불리다가 고려시대에 안동부로 승격되면서 처음 안동으로 불리었다. 조선시대에는 안동대도호부로, 고종33년에 안동군, 1931년 안동읍, 1962년에 시로 승격, 1995년1월에 안동시와 군이 통합되어 전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갖게 되었다.
안동시는 국내 최초의 향토문화 축제로 자리매김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비롯 유교문화전통을 살려 전통예절학교 선비문화체험 프로그램을 집중 육성하여 유교를 바탕으로 한 우리나라 정신문화의 중심지로 거듭나고 있다. 최근에는 경주에 이어 두 번째로 세계역사도시에 가입하는 등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알리는 데에도 앞장서고 있다. / www.andong.go.kr
서울 면적의 2.5배로 한국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곳으로 전국적으로 이름 높은 안동소주, 안동산약, 안동 간고등어, 안동포 등의 특산물을 자랑하고 있다. 현재 임야가 전체 면적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농업이 주 산업이나 장래에 관광산업의 발전이 더 크게 기대된다.
안동에 볼거리로 안동시립 민속박물관, 안동공예문화전시관, 안동소주 및 전통음식박물관,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 등 누구나 쉽게 즐기며 체험할 수 있다. 그리고 월영교는 길이가 387m에 이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나무다리로 안동호의 자연 풍광과 어우러져 아름답다. 월영교 드라마 세트장으로 잘 알려져 있다. 가까이에 야외 민속촌과 박물관이 있다. / www.tourandong.com
유교문화의 중심지로 UNESCO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그리고 퇴계 이황 등 조선시대 걸출한 유학자를 숱하게 배출한 [도산서원] 등 유교문화 유적이 많이 산재한 안동이야말로 우리나라 유교문화를 알아보는데 적격지라 할 수 있다. 다음의 주요 관광명소들을 언급하여 본다.
안동국제탈춤 페스티벌 / www.maskdance.com
= = =
©AndongTour – 유명한 하회마을에 있는 [하회세계탈박물관]
하회마을 (Hahoe Village)
낙동강이 ‚S’자로 굽어 흐르며 마을을 감싸고 있어 하회라는 지명이 붙었다. 이 마을에는 다양한 고가옥, 고건축물들이 어울려 옛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전통민속마을이다. 하회마을은 풍산류씨의 동성 마을로 조선전기 이래의 건축물 양진당과 충효당, 영모각 그리고 부용대를 볼 수 있다. 또한 [하회별신굿 탈놀이], [선유줄 불놀이] 등의 민속문화가 그대로 남아있다. 박물관으로 하회세계탈박물관 (www.tal.or.kr)이 있다. 2010년에 하회마을은 경주의 양동마을과 함께 UNESCO 세계문화유산에 지정이 되었다. 안동시에서 서쪽으로 25km 떨어져 있으며 가는 교통편은 안동-하회마을 운행 46번 시내 버스 이용하면 된다. / www.hahoe.or.kr
병산서원 (Byeongsan Seowon)
서애 유성룡 선생의 제사를 모시고 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워진 병산 서원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유교 건축물이다. 선생이 돌아가신 후 제자들과 지방 유림들이 뜻을 모아 1613년 존덕사를 창건하고 위폐를 모신 곳으로 1863년 ‚병산’이라는 사액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철폐되지 않고 남은 47개 서원 중 하나이다. 안동에서 서쪽으로 28km 떨어져 있으며, 가는 교통편은 안동 시내버스 46번 안동–병산서원간이며 1일 2회 운행 된다. / www.byeongsan.net
©AndongTourism – 도산 서원 근처에 있는 [한국국학진흥원]의 풍경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국학진흥원은 안동에서 도산서원 가지 전에 도산면에 위치하며 여기에는 한국국학을 연구 및 보존하기 위하여 온라인홍보관, 유교문화박물관, 인성연구관, 장판각 그리고 부속 기관으로 국학문화회관이 속해 있다. 현재 이사장은 김관용 경북 도지사이다. / www.koreastudy.or.kr
도산서원 (Dosan Seowon)
도산서원은 성리학의 대학자 퇴계 이황을 받들어 모신 서원이다. 관직에서 물러난 퇴계가 제자들을 모아놓고 날로 학문에 힘쓰던 서당 자리로, 선생님이 돌아가신 후로 제자들이 사당인 상덕사와 전교당 등 서원을 짓고 이 후 선조가 도산서원이란 현판을 내려 사액서원이 되었다, 현판은 한석봉의 친필이다. 이 외에 농운정사, 광명실, [도산십이곡]의 판목이 소장된 장판각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안동시에서 북쪽으로 27km 떨어져 있으며 가는 교통편은 안동-도산서원간 67번 시내버스 이용 (40분 정도 소요), 1일4회 운행. / www.dosanseowon.com
경북 (GyeongBuk) – 활발한 국제교류
경상북도는 한반도의 반만년 역사를 이끌어 온 자랑스런 고장이다. 자연과 인간, 문화와 산업,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역동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도이다. 경북에는 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불국사, 석굴암 및 경주 구 시가, 안동의 하회마을과 경주의 양동 마을 등 문화 유산이 많은 도이며 또한 한국의 3대 문화 즉 불교, 유교 및 가야 문화의 본산지로 관광의 매력이 큰 도이다. 또한 한국의 경제 비약을 올린 [세 마을 운동]의 본고장이기도 하다. 면적은 19’025km2 (전 국토의 약 20%)이며, 행정구역은 10개 시와 13개 군으로 구성, 인구는 약 300만 명이 살고 있다.
신 도청 청사가 들어선 [문화도시], [전원형 생태도시], [명품 행정 지식산업도시]를 조성하는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에 면적 10.97km2, 인구 10만명의 도시로 발전하게 된다. 실은 도청사가 2015년10월에 이동하려고 했으나 사정상 연기되여 2016년2월에 이전했다. 앞으로 장기간의 발전계획이 순조롭게 취진 되기를 기원한다. / www.gb.go.kr/Main/index.html
.
©SongZy – 불교문화의 상징인 경주 불국사의 다보탑
경북은 문화의 보고 (World Culture Heritage)
찬란한 신라의 불교문화와 조선시대의 유교문화 그리고 신비의 가야문화 등 민족문화의 본산지로 한국 문화재의 20%를 보유한 한국문화의 얼굴이다.
가) 불교문화의중심지 : Gyeongju (경주) 시– 세계문화의고도
나) 유교문화의중심지 : Andong (안동) 시– 한국정신문화의수도
세계유교문화축전 (World Confucianism Festival) – 북부경북유교문화권에서
다) 가야문화의중심지 : Goreong (고령) 군– 대가야의역사와문화를담은도시
찬란한문화유산, 아름다운산과바다, 넉넉한인심, 다양한볼거리와먹거리는감동과추억을만들어드립니다. 한국의어제, 오늘그리고미래가있는경상북도는여러분을기다리고있습니다.
[World Culture Expo 2013] – 이스탄불–경주 세계문화엑스포
지난 8월31일에 개막식을 갖고 9월22일까지 23일간이스탄불 시내 일원에서 „길, 만남 그리고 동행“이란 주제로 열린다. 2006년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Angkor Wat)에 이은 두번째 해외 엑스포이다. 아시아와 유럽 등지에서 50여개 국이 참가해 전시, 공연, 영상, 체험, 특별 이벤트 등 9개 분야에서30여개의 댜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 www.cultureexpo.or.kr
세계문화엑스포 개최지는 1‘500만 명 살고 년간 2‘00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메가시티 이스탄불 시의 일원에 경북의 시(市)와 군(郡)들을 다양한 면에서 즉 음악과 춤, 문화 및 상품 전시 그리고 관광홍보의 부즈를 통해서 많이 알리는 절호(絶好)의 기회를 갖게 되었다. 각 홍보 부즈에는 한국어를 말하는 터키 대학생들이 활동하고 있었어 양국의 친선(親善)과 협력(協力)을 보여주고 있었다.
안동 (Andong) – 한국정신문화의 수도(首都) / www.andong.go.kr
= = =
세계유교축제 (World Confucianism Festival) – 경북북부 유교문화권
©WorldCF – 유교문화의세계화를위한모임
= = = = =
Südkorea – ein Land zwischen Tradition und Moderne. Neben den vibrierenden Metropolen, mit neusten Technologie-Innovationen und einer schnelllebigen Popkultur, zeigen sich die Paläste und Tempel des Landes in einer beeindruckenden Ruhe und Eleganz. Bei einem Templestay finden Sie Ihre innere Ruhe und erfahren von Mönchen über den Alltag im Tempel. Auch die vielen Nationalparks bieten eine Möglichkeit dem Trubel der Städte zu entfliehen. Sie bieten Naturliebhabern atemberaubende Aussichten und wunderschöne Landschaften. Es finden sich immer wieder solche Kontraste, die Südkorea nicht nur einzigartig, sondern auch zu einem spannenden Reiseziel machen – Südkorea hält für jeden Reisetyp das passende Abenteuer bereit!
Metropolen
In den Metropolen Südkoreas herrscht stets geschäftiges Treiben. In und um die Hauptstadt Seoul wohnen über 25 Millionen Menschen und somit rund ein Drittel der gesamten Bevölkerung Südkoreas. Es gibt eine Vielzahl an Aktivitäten, um Seoul zu erkunden, von Palastrundgang über Shoppingtour bis hin zum Caféhopping – für alle ist etwas dabei! Das Stadtbild Seouls ist gespickt von glitzernden Wolkenkratzern und Palastgebäuden der Joseon-Zeit. Zudem finden sich eine Vielzahl an Tempelanlagen in der Stadt verteilt. Auch gibt es in den kleinen Gassen der Hanok- und Kulturviertel die Geschichte der Stadt zu entdecken.
Outdoor
Über 70 % Südkoreas besteht aus Bergen. Daher ist es auch kaum verwunderlich, dass Wandern sozusagen Nationalsport der Koreaner ist und sich reger Beliebtheit erfreut. Mit insgesamt 22 Nationalparks, 17 davon in bergigem Terrain gelegen, gibt es für Natur- und Wanderfreunde genügend Landschaften zu entdecken. Auch kann Korea mit zwei UNESCO Weltnaturerbe-Stätten aufwarten, die durchaus einen Besuch wert sind. Die Insel Jeju ist einer der beiden Weltnaturerbe-Stätten und besticht mit ihrer vielfältigen Natur. Neben Höhlen, Vulkangeröll und weitläufigen Wiesen, lassen sich auch raue Klippen und helle Sandstrände bewundern.
Geschichte und Kultur
Südkorea kann auf rund 5’000 Jahre Geschichte zurückblicken. Durch die Pflege der materiellen und immateriellen UNESCO-Weltkulturerben, kann man unterschiedliche Aspekte der Kultur Koreas hautnah erleben. Warum zum Beispiel nicht gemeinsam mit den Taucherinnen der Insel Jeju, den Haenyo, nach Seafood tauchen? Oder bestaunen Sie doch lieber die einzigartige Buddha-Statue der Seokguram Grotte in Gyeongju? Von Seoul über Andong nach Gyeongju oder Gwangju – in jeder Stadt gibt es einen Teil der Koreanischen Geschichte zu bestaunen!
Küche
Durch die sozialen Medien und K-Dramas erhielt die koreanische Küche in den letzten Jahren weltweit viel Aufmerksamkeit. Mit seiner Vielfalt an Aromen, Schärfegraden und Zutaten bietet die Koreanische Küche für jeden Geschmack ein passendes Gericht. Gemeinschaftliches Essen hat in der koreanischen Kultur einen hohen Stellenwert. Das gemeinsame Essen wird genutzt, um den Tag mit den anderen Familienmitgliedern Revue passieren zu lassen, bei einem Firmenessen über die getane Arbeit zu sprechen oder über einen Tischgrill versammelt mit Freunden die eigenen Sorgen und Probleme auszutauschen. Es ist also eine Möglichkeit in einer Gemeinschaft zusammenzukommen. Deswegen bietet das Essen einen lebhaften Einblick in die Kultur Koreas.
Facts & Figures
Hauptstadt : Seoul
Einwohner : 51.6 Millionen
Fläche : 100.3 Quadratkilometer
Sprache : Koreanisch, in touristisch relevanten Orten auch Englisch, Ausschilderung fast überall auf Englisch
Zeitzone : Zeitverschiebung im Sommer plus 7, im Winter plus 8 Stunden gegenüber der Schweiz (in Japan gibt es keine Sommerzeit)
Währung : Koreanischer Won, Wechselkurs 1 Schweizer Franken ist derzeit ungefähr 1.503 wert
Klima / Reisezeit : 4 Jahreszeiten, die allerdings ausgeprägter sind als in der Schweiz. Der Winter wird besonders kalt und der Sommer sehr heiss und schwül. Von Juli bis August währt die Monsunzeit.
Besonders beliebte Reisezeiten sind der Frühling, um die Kirschblüte zu bestaunen (Mitte März bis Mitte April), und der Herbst, um die Berge Koreas in buntem Herbstlaub zu sehen (September bis November
= = =
작성자: 송지열 (Ziyul Song) / https://eurasiatour.info
Facebook (Ziyul Song) / www.facebook.com/ziyul.song
.